[네트워크] IOS 7, TCP/IP 네트워크 계층구조

  • IOS 7, TCP/IP 네트워크 계층구조



  • 계층별 설명
    • 물리 계층(physical layer)  
      • 장치들을 연결하는 데 필요한 전기적, 물리적 세부 사항을 정의하는 계층이다.
      • 물리적인 정보 전달 매개체에 대한 연결의 성립 및 종료를 수행한다.
      • 디지털 데이터를 이에 상응하는 신호들로 변환한다.
    • 데이터 링크 계층(data link layer)  
      • 개체들 사이에 신뢰성 있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계층이다.
      • 물리 계층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검색한다.
      • 검색된 오류를 수정하는 데 필요한 기능적, 절차적 수단을 제공한다.
    • 네트워크 계층(network layer)  
      • 여러 개의 노드를 거칠 때마다 경로를 찾아주는 계층이다.
      • 다양한 길이의 데이터를 네트워크들을 통해 전달한다.
      • 전송 계층이 요구하는 서비스 품질을 제공하기 위한 기능적, 절차적 수단을 제공한다.
    • 전송 계층(transport layer)  
      • 양 끝단 간 신뢰성 있고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계층이다.
      • 오류검출 및 복구와 흐름 제어 등을 수행한다.
    • 세션 계층(session layer)  
      • 양 끝단의 응용 프로세스가 통신을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계층이다.
      • 서비스 종류를 설정하고 상위 계층에서 발생하는 문제의 예외를 보고한다.
      • 두 호스트의 표현 계층 사이의 통신 동기화와 데이터 교환을 관리한다.
    • 표현 계층(presentation layer)  
      • 운영체제의 한 부분으로 입력 또는 출력되는 데이터를 하나의 표현 형태에서 다른 표현 형태로 변환하는 계층이다.
    • 응용 계층(application layer)  
      • 일반적인 응용 서비스를 수행하는 계층이다.
  • 네트워크를 전송 매체의 접근 방식  
    •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(FDMA,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)  
      • 각각 정해진 주파수 대역폭을 사용하여 통신 하는 방법이다. 서로 주파수가 다르므로 동시에 통신이 가능하다.
    • 시간 분할 다중 접속(TDMA,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)  
      • 주파수 대역폭을 다르게 하지 않지만 각각 시차를 두어 돌아가며 통신을 하는 방법이다.
    • 코드 분할 다중 접속(CDMA,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)  
      • 데이터를 코드에 따라 암호화하여 전송하고 수신 측에서는 이를 복호화하는 방법이다. 코드가 맞는 데이터만 해석하게 된다.
  • TCP/IP
    • TCP(Transmission Control Protocol)
      • TCP의 기능은 바이트 스트림(연속된 바이트들, 메시지나 파일 등)을 목적지 (IP 주소, port 번호)로 신뢰성 있게 전송하는 것이다. TCP는 송수신 측의 연결이 유지되는 연결지향 프로토콜이다.
      • IP 주소는 어떤 호스트로 데이터가 전달되어야 할지를 의미하며 port 번호는 해당 호스트에서 TCP 소켓을 열고 있는 어떤 프로세스에게 전달되어야 할지를 의미한다.
      • TCP는 바이트 스트림을 전송할 때 패킷으로 나누어서 전송하며 패킷 수신 측에서 패킷들을 원래의 스트림으로 재조립한다. 패킷을 전송한 순서와 수신된 순서가 다를 수 있으므로 패킷의 순서를 맞추고 유실된 패킷의 재전송을 요청하며 수신 측에서 데이터를 받는 속도가 송신 측보다 느릴 경우 전송 속도를 조절하는 등의 기능이 있다.
    • IP(Internet Protocol)  
      • IP는 패킷을 목적지 IP 주소로 전송한다.
      • 패킷은 허브, 게이트웨이, 라우터 등을 거치며 목적지 IP주소에 도달할 수 있게 중계된다.프로세스에게 전달되어야 할지를 의미한다.
      • 패킷은 보내는 측의 IP 주소와 받는 측의 IP 주소를 가지고 있다. 각 주소는 32비트 크기이다. 그 외에도 패킷의 길이, 패킷이 네트워크상에 존재할 수 있는 시간 등이 패킷에 기록되어 있다.

댓글

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

[유니티] 오류 사례 "Moving file failed", "Temp"

[유니티 사례] 비주얼 스튜디오(Visual Studio) 실행 오류

[유니티] 구글 지도 출력 샘플